2017년 2월 13일 월요일

국내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

국내에는 2016 11월 말 기준으로 환경부에서 주도적으로 보급한 487기의 공공급속충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급속충전기는 DC차데모, AC3상 그리고 DC콤보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복합멀티형 충전기이며, 기존에 DC차데모 방식과 듀얼형으로 구축된 충전시설 177기는 개선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 중 약 105기 가량이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다.

환경부 급속충전기 보급 사업과는 별도로 국내 민간 사업자인 포스코ICT, 비긴스제주, 제주전기차서비스(포스코ICT 등 컨소시엄),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및 한국전력의 충전기가 전국에 1,132(완속 873개소, 급속 259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환경부와 민간 충전사업자들은 2017 6월까지 완속충전기 19,579기를 포함하여 총 21,494기를 전국에 설치할 예정이다.

만약 계획대로 2017 6월까지 급속충전기 1,915기가 설치된다면, 급속충전기 1기당 전기차수는 (전기차 보급이 계획대로 3만 대가 된다면) 15.6대가 된다. 이는 2015년 기준 일본의 급속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 21.1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약 2년 후면 우리나라도 일본과 비슷한 충전인프라 여건이 조성 가능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충전인프라 여건이 갖춰지면 미국, 중국, 일본, 노르웨이 등 전기차 선진국과 같이 우리나라도 전기차 보급이 대폭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ChargEV(차지비)는 포스코ICT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민간 전기차 충전서비스이다. 처음에는 BMW, 현대차, GM 등의 자동차 제조 기업과 협력해 기업 고객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2016 8월 일반인 고객들도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범위를 확대하였다. 현재 기존 공용시설물에 운영하고 있는 280기의 완·급속충전기에, 최근 제주전기차서비스와 제주택시조합이 보유한 충전기 52대를 통합해 총 332대의 충전기를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제주택시조합의 충전기는 개인 소유 충전기를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첫 공유 모델로 운영되는데, 다른 전기차 운전자가 이들 충전기 사용으로 지불하는 이용료의 수익을 공유하면서 추가 인프라 확장 등을 유도하고 전기요금 등 운영비로 활용한다.

충전요금은 1kWh 440원으로 공공급속충전기보다는 비싼 금액이나 할인카드나 멤버십을 이용하면 보다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하고, 무엇보다 대형마트, 아울렛, 영화관 등 편의시설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장점이다. 현재 소유·관리 주체가 다른 국가 및 경쟁사 충전인프라도 사용자 인증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로밍(호환) 서비스 체계를 구축 중으로, 완료되면 환경부와 한전,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등이 운영하고 있는 1,000여 곳의 충전인프라를 포스코ICT 멤버십 카드만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1호 유료 충전사업자로 2015 7월 한전 28%, KT 24%, 현대 24%, 비긴스 17% 그리고 제주SG협동조합 7%의 투자를 통해 한전 SPC’라는 이름으로 창립하였다. 2018년까지 총 200억원을 투입해 제주 위주로 전국에 총 3,660기의 완·급속충전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요금제는 종량제와 정액제로 나뉘는데, kW당 종량제는 환경부 요금과 동일하게 책정되어 있으며 월 정액제는 100kWh를 제공하는 라이트 요금제는 월 45,000원이며 무제한 제공되는 무제한 요금제는 월 90,000원이다. 마찬가지로 멤버십 카드를 통해 협약을 맺은 충전소(환경부 등)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한국전력은 2016 10월부터 전국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의 공모를 시작하였다. 950억원의 예산을 투자, 전국 아파트 등 공동주택 단지에 급속충전기 1,000, 완속충전기 3,000기 그리고 이동형충전기 20,000기 등 총 24,000기의 전기차 충전시설을 구축해 충전인프라 부족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전국 공공시설 150곳에 구축할 계획인 급속충전기 300기 사업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급속충전기는 1,500가구당 1기씩, 완속충전기는 500가구당 1기씩 최대 6기까지, 이동형충전기는 단지당 최대 10기까지 보급할 예정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