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5일 수요일

IoT 기반 스마트시티 구축동향 ⑫

1) 국내_3



(6) 안양

안양시는 2003년 이후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총 350억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하였고 통합센터를 중심으로 교통, 안전, 방재 등 3개 분야에서 총 14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특히, 스마트폰 안전도우미 서비스는 GIS, 스마트폰 앱 및 CCTV를 연계하여 신고자 위치를 추적하고 동시에 신고자 주변 모든 CCTV가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따라가며 보호하는 대표적인 솔루션이다.
초기 교통시스템 위주에서 방범 서비스 연계, 통합 유관기관 간 정보 공유, 서비스 확장 등 점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 경기도 안양시 스마트도시 제공 서비스
서비스부문
서비스명
서비스내용
U-교통
실시간 교통정보
       현장에 설치된 각종 검지기를 통하여 실시간 교통상황을 센터로 전송하고 센터에서는 이를 가공하여 도로별 소통상황, 구간별 소요시간, 교통CCTV정보, 공사 및 기상상황 등의 다양한 교통정보를 시민에게 제공
버스환승정보
       버스의 현재위치, 노선별 버스 현황, 버스환승정보, 개인별 맞춤정보, 정류장 및 노선검색 서비스 제공
실시간 버스정보
주차장 정보
       생활지리정보로 주요 시설물의 위치나 이용 교통수단 정보 및 경로정보 및 인근의 주차장 정보 등을 제공
시설물 위치 및 교통이용 정보
빠른 길 찾기
교통신호제어
       교통신호의 원격 제어
과석, 신호위반 불법주정차 단속
       교통 관련 불법 행위 단속 및 교통사고 발생 시 사고원인 규명자료로 활용
U-안전
스마트폰 안전도우미 서비스
       방범 CCTV와 개인스마트폰을 연계한 앱 실행 시 사용자 위치가 센터로 전송되어 방범 CCTV가 사용자 동선을 따라가며 보호하고 위급 상황시 즉각적으로 센터와 경찰 및 안전 지킴이 회원에게 통보하여 구조요청에 대응
지능형 방범 서비스
       시민이 112에 신고하면 주변 CCTV가 작동하고 순찰차가 범죄현장의 CCTV영상을 보면서 출동하며 범죄 용의자 도주경로는 주변 CCTV가 추적해 순찰차에게 전달
U-방재
도시 시설물 관리
       도로시설물, 산불, 하천범람 및 침수지역, 겨울철 제설상태 및 도로결빙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이벤트 발생 시 효율적으로 대응
산불감시
하천범람 및 침수지역 감시
겨울철 제설상태 감시
출처: 국토연구원 [미래의 도시와 한국의 선택], 2016. 7


출처: 국토연구원 [미래의 도시와 한국의 선택], 2016. 7
그림. 경기도 안양시 스마트도시 구축과정

안양 스마트도시의 가장 큰 특징은 적극적으로 타 기관들과 시스템 및 정보를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합센터의 정보들은 안양시 관련부서 및 경찰, 소방 등의 유관기관들과 공유하고 특히, 센터에서 수집되는 각종 긴급 상황 영상을 112신고센터 및 순찰차량에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고 산불, 범람 등 긴급 상황과 주택가 화재 및 안전사고 발생 시 군부대와 119구급차량 등에 제공한다.

. 경기도 안양시 통합정보센터의 정보연계대상 및 내용
연계대상
연계내용
국토교통부(ATMS)
국가교통정보센터와 교통, 광역BIS TAGO 정보공유
경찰청(UTIS)
중앙교통정보센터와 안양 및 도시지역 소통정보 연계
경기도 BMS 센터
경기도, 서울시, 인천시 등 안양 경유 모든 버스정보 연계
안양경찰서
안양경찰서 지령실, 지구대, 순찰차와 연계
(사고 및 범인검거용 CCTV 공동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소방서 및 군부대
소방서 및 군부대 CCTV 영상 공동 활용
(산불, 하천, 폭설 등 각종 재난상황시 신속한 지원체계)
업무부서 연계
시청 산불감시 및 도로, 하천관리 부서에 CCTV 영상 연계
한국철도공사(Korail)
지하철 실시간 도착정보 연계
mbn(매일경제)
mbn방송국과 국내외 헤드라인 및 생활정보 등 뉴스연계
출처: 국토연구원 [미래의 도시와 한국의 선택], 2016.7

 

(7) 화성 동탄 신도시

신도시 개발 시 최초로 U-City 개념을 도입한 지역은 화성 동탄 신도시 지역이다. ‘052월 화성 동탄신도시의 U-City 구축 계획안이 확정된 후 ‘065월부터 ‘089월까지 U-City 구축사업이 추진되었으며 사업예산으로 약 450억원이 투입 되었고 구축 대상지역의 총 면적은 903㎡이, 12만명의 수용인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화성동탄신도시에서 U-City 통합운영센터를 국내최초로 구축하였다. 2008U-City의 주요 기반시설인 방범, 교통 등 개별 서비스 분야들을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하는 U-City통합운영센터를 국내 최초로 구축하였다. 통합 운영센터는 기존의 개별 운영되던 지 자체 내 센터들을 통합함으로써 구축비 측면에서 약 25억원 가량을 절감할 수 있었고 운영비 측면에서도 운영 인력 비용, 장비 유지보수비, 통합 시스템 운영 등에 의해 연간 약 34천만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한국토지공사), 통합운영센터 구축 및 운영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 외에 교통, 방범 등의 개별 서비스들을 연계 통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U-City서비스로서 공공정보서비스를 구축하였다. U-City관련 세부사업으로서 1차 사업에서는 기반인프라 구축 및 5대 시범 공공정보서비스를 구축하였고 2차사업에서는 8대 공공정보서비스를 구축하였다.
교통편의 서비스는 돌발 상황, 혼잡상황, 소통정보, 주변도로 교통상황 등 제반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실시간 교통제어와 공용주차장의 입출차 관리, 주차차량 위치확인, 실시간 주차기능 위치정보 등 주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U-Parking 서비스 등을 제공하였고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승차예정인 버스의 도착 예정정보 등을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서비스 역시 시행 중에 있다.
생활안전 서비스는 화성 동탄신도시 지역 내 CCTV를 설치하여 범죄의 사전 예방 및 실시간 감시를 통하여 주민들이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공공지역 방범 서비스와 차량번호 인식 및 불법주정차 단속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수도 누수관리 서비스는 화성 동탄신도시 지구에 공급되는 상수관로상의 유수율 향상과 누수발생 지점 관리를 통해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서비스이다.
미디어보드는 화성 동탄신도시의 스마트 도시 인프라를 활용하여 시장정보, 교통정보, 각종 생활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민들에게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U-플레카드는 기존의 현수막을 LED전광판으로 대체하여 지역주민 광고뿐만 아니라 긴급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화성 동탄신도시의 스마트 도시 구축은 국내 최초의 구축사례였기 때문에 몇 가지 시행착오를 겪기도 하였다.
U-플래카드 등 일부 서비스의 경우 현행법에 배치되어 구축 후 제한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었고 경찰서, 소방서 등의 안전방재관련기관과 통합운영센터에 서 수집되는 정보를 연계하는 것은 당시 법적으로 불가능하여 통합운영센터 역할이 축소되었다.(매일경제 미래 경제보고서팀, 2016)
구축에 초점을 두어 이후 발생하는 관리운영비에 대한 고민이 없어 지속적으로 지 자체의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화성 동탄신도시의 경우 통합운영센터, 통신망, CCTV및 센서 등과 같은 시설물 처리 등 스마트 도시 관련 인프라 구축 사업이었고 인프라에 기반을 둔 서비스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였지만 과장된 홍보로 인하여 시민들의 실망감이 발생하였다.

(8) 서울

서울시는 스마트시티라는 명칭보다 커넥티드 시티(Connected Cit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831개 지역에 무료 와이파이를 설치 했고, 2014년 하반기에는 9개 노선버스 45대에 와아파이를 설치해 차량 이동 중에도 무료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했다.
하드웨어 인프라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서비스도 시민들에게 제공되는데,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발굴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20144월 서울시가 KT로부터 받은 휴대폰 통화량 데이터와 서울시 교통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심야버스 노선을 결정한 사례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행정혁신 사례이다.
서울시 전역을 지름 1KM크기의 1,252개 구역으로 나눠 새벽 0~5시까지 약 30억건의 휴대폰 데이터를 분석해 유동인구 밀집도를 분석해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유동인구를 노선별, 요일 별로 패턴 분석한 사례이다.
서울시는 최근 근거리 통신기술인 비콘(Beacon)을 활용해 전통시장 살리기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고객이 시장 입구에 들어서면 시장정보가 스마트폰에 전송되고 가게를 지나가면 해당 가게의 쿠폰이 자동 전송되는 방식이다.

(9) 나주시(전라남도)


출처: 산업경제 리서치 [4차 산업혁명의 신산업 플랫폼, 스마트시티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전망] 2017. 6
그림. 나주시 스마트 에너지시티 추진

 

(10) 제주특별자치도

출처: 산업경제 리서치 [4차 산업혁명의 신산업 플랫폼, 스마트시티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전망] 2017.6
그림. Jeju, Green Big Bang

댓글 없음:

댓글 쓰기